물마셔() 하면 마실거고 → 추상적
라면 끓여와 () 하면 끓여올거임 → 추상적
로직이 아니다 프로그렘을 짜는 것은 로직이다. 구체적으로 명령을 내려야 한다.
왜 공부를 잘 못하냐?
- 로직을 생각해서 프로그램 처리해야 하는데 추상적으로만 생각한다.
- 로직(구체적) 생각해서 추상화 시키는 것 문법은 기본(반복해야 하는 것) → 왜 구체적으로 추상화 시키냐? 사용자는 추상적으로 생각한다. 활용만 하면 된다. → 구체화 시킨다 (예를 들어 엑셀을 밟는다면 앞으로 간다 만 생각한다 하지만 생각하다 보면 구체적으로 봐서 엑셀을 밟으면 어디에 불이 들어와서 엔진에 신호가 가고 이렇게 저렇게 된다
- 즉 추상적으로 받아 드리고 활용해서 구체적으로 알아야 한다!! 익숙해 져서 궁금한 것이 있다면 자세히 알아봐야 한다
일단 핵심만 파악하고 많이 치고 나중에 자세히 알아보고 싶은 날이 있을 거다. 처음부터 자세히 알아보고 싶다 하면 늘지를 않는다.
일단 매우 쳐라 그래야 실력이 는다
Share 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