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스프링부트( 블로그 만들기) 프로젝트 세팅

윤주헌's avatar
Aug 14, 2024
1. 스프링부트( 블로그 만들기)   프로젝트 세팅

1.1 프로젝트 만들기

notion image
스프링 워크에 파일 만들기
notion image
group → 도메인 주소
notion image
 

1.2 체크할 항목들 (next 한 후 다음 페이지)

3.3.2로 하자 윗 버전들은 아직 안정적인 버전 아님
notion image
 

중간 개념정리

  • lombok
💡
어노테이션(@) 기반으로 코드 자동완성 기능을 제공하는 라이브러리
  • Spring Boot Devtools
💡
1. 코드 변경시 자동으로 어플리케이션 다시 시작 2. 브라우저로 전송되는 리소스(템플릿, js, 스타일 시트 등)가 변경될 때 자동으로 브라우저 새로고침 3. 템플릿 캐시 자동 비활성화 4. H2 DB사용중이라면 자동으로 콘솔 활성화 시킨다 → 따로 그래들에
  • Spring Web
💡
프레임 워크로 웹 더 편리하고 빠르게 만들 수 있다.(간편하게 만들 수 있는 도구) Apache Tomcat을 기본 내장 컨테이너로 사용함 Spring MVC 사용해서 RESTful( HTTP와 URL(주소) 기반으로 자원에 접근할 수 있도록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 개발 인터페이스) 을 포함한 웹 구축함
  • Spring Data JPA
💡
Hibernate와 JPA(Java Persistence API) 기반으로 간단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Spring Framework의 프로젝트 중 하나(JPA업글인 Repository라는 인터페이스 제공함)
  • JPA
💡
자바 진영에서 ORM(Object-Relational Mapping) 기술 표준으로 사용되는 인터페이스 모음 → 실제 구현X, 구현된 클래스와 매핑을 해주기 위해 사용되는 프레임 워크 ※ 블로그 3번 템플레이트 인클루드설정 에서 DB발전내용 참조
  • H2 Database
💡
잠시 저장하고 날라가는 간편한 DB(일회용 용기처럼) 인 메모리 DB다, 보통 테스트 할 때 많이 사용함 (하드에 내용 저장하지 않고 메모리에 넣어 서버 죽거나 새로 고침하면 데이터 날라감) ※ 블로그 3번 템플레이트 인클루드설정 에서 6번DB만들어야 한다 참조
  • Mustache
💡
자바쪽에서 사용되는 서버 템플릿 엔진(지정된 템플릿 양식과 데이터 합쳐져 HTML 문서를 출력하는 소프트 웨어(JSP, 리액트 등)말함) 서버, 클라이언트 템플릿 엔진 모두 사용 가능

2. 롬북 세팅

notion image
롬북 → 게터 세터 자동으로 만들어 주는 것
notion image
notion image

2.1 라이브러리

notion image
implementation 'org.springframework.boot:spring-boot-starter-data-jpa' implementation 'org.springframework.boot:spring-boot-starter-mustache' implementation 'org.springframework.boot:spring-boot-starter-web' compileOnly 'org.projectlombok:lombok' developmentOnly 'org.springframework.boot:spring-boot-devtools' runtimeOnly 'com.h2database:h2' annotationProcessor 'org.projectlombok:lombok' testImplementation 'org.springframework.boot:spring-boot-starter-test' testRuntimeOnly 'org.junit.platform:junit-platform-launcher'
글자가 다 적혀 있는데 하나 하나가 뭔지는 지금 몰라도 괜찮음 jar파일을 넣어두면 내 프로젝트에 연결해줌
파일이 5메가 면 5메가가 들어옴
 
주석 처리하고 코끼리 클릭하면 내용 사라짐
notion image
삭제 되었다면 다시 주석 빼고 코끼리 눌러주면 내용 추가 된다
 

2.1.1 Gradle(그레이들)

→ 빌드 도구 그레이들은
  • Maven(다른 빌드 관리 도구)으로 pom.xml에 JDBC넣고 mysql 연결 하나 한 넣은 것과 같다
  1. 내가 모든 파일들을 가지고 다니는 것이 아닌 클라우드 저장소에 넣고 글만 적어두고 자동 다운로드 되면 편하다
  1. Gradle은 하나만 의존하면 됨 다른것은 신경 안 써도 괜찮음 보통은 라이브러리 끼리 의존한다 (타이어 만들고 싶으면 만약 휠을 만드는 회사면 휠을 만들고 타이어 씌워야 하는데 없으면 외부에서 협업하던가 사와야해서 타이어 회사에 의존해야 함 고객이 와서 휠 만드는 회사에게 타이어 만들어 달라하면 휠과 타이어 회사 둘 다 의존해서 가져와야함)
  1. 그레이들에 1.2에서 체크했던 항목들이 들어가 있다.
  1. 가독성이 좋다
 
BlogApplication 파일을 시작하면
notion image
스프링 부트는 내장 톰켓이 있어서 알아서 돌아감
notion image
서버가 돌고 있다
notion image
지금까지는 아파치만 돌아가고 있는 거임
 
Share article

code-sudal